조형물을 통해서 만나는 전남대학교
전남대 곳곳에서 만나는 조형물은 어떤 역사와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 함께 알아볼까요?
Monday, June 19, 2017
Sunday, June 18, 2017
희망탑
제목: 희망탑
설치 장소: 전남대 경영대 1관 앞 화단
설치 날짜: 2010년 12월 15일
조각가: 김대길 (조각가 프로필)
소개: 전남대 경영대학 1호관 옆 화단에서 개교 60주년 기념 조형물인 '희망탑' 제막식을 가졌다. 이 탑에는 '꿈, 열정, 도전'의 메시지와 경영대학이 '글로벌경영인재 양성의 요람'으로 자리매김하길 바라는 동문들의 마음이 상징적으로 표현돼 있다.
관련 인터넷 기록물
1. 경영대 60주년 기념 희망탑 세워: 꿈·열정·도전, 글로벌리더양성의 요람 기원. 전대신문 [2010.12.15]
2. 전남대 경영대학 60주년 기념 희망탑 세워. KIURI [2010.12.29]
3. 전남대 경영대, 희망탑에 꿈·열정·도전을 품고. DH News [2010.12.15]
임을 위한 행진 - 5.18상징기념 조형물
제목: 임을 위한 행진 - 518상징기념 조형물
설치 장소: 봉지: 백도(별관), 홍도 (본관), 1학생회관 사이 중앙에 있는 조그마한 분수(연못) 가운데설치 (제작)일자: 2004년 05월 18일
재질: 화강석
규모: 높이 9.4m (무게 150톤)
조각가: 김대길 (조각가 프로필)
<봉지 겨울 사진: Source:
Naver Blog>
조형물 전체적인
형상은 교수 학생 직원 시민을 각각 상징하는 4개의 인체 형상이 5월
정신과 상아탑의 부단한 노력, 사랑과 포용을 갖고 진취적으로 나아가자는 공동체적 의미를 담고 있다 (Newswire).
<전남대에 5.18조형물 제작한 미술학과 김대길 교수. Source: 시민의소리>
관련 인터넷 기록물
1. 전남대 5.18조형물 ‘님을 위한 행진’ 건립. Newswire [2004.06.02]
2. 시민.학생.교수.직원이 함께 오월정신을 승화시키길. 시민의소리 [2004.05.12]
'피어나다' 조형물
제목: 피어나다
설치 장소: 전남대학교 정문 518민주공원
설치
(제작)일자: 2016년
12월 20일조각가: 박정용(조각가 프로필)
소개: 광주정신인 민주, 인권, 평화를 상징하는 3개의 꽃잎이 승화의 피어나는 순간을 형상화한 작품으로
박저용 조각가가 2016년에 제작한 작품이다.
관련 인터넷 기록물1. 전남대 518민주공원에 설치된 피어나다 조형물. Diodeo [2016.12.20]
2. 전남대 5.18민주공원 20일 개원. 한국일보 [2016.12.19]
3. 전남대 정문 민주주의산 교육장 변모. 아시사경제 [2016.12.20]
4. 전남대학교 5.18민주공원 20일 개원 개방. 호남교육신문 [2016.12.17]
5. 광주정신 피어나다. 전대신문 [2017.01.02]
Friday, June 16, 2017
우리의 교육지표
제목: 우리의 교육지표
설치 장소: 전남대학교 인문대 1호관 앞동산
설치 (제작)일자:
2007년 07월 26일
재질: 대리석
쥬모: 높이 2m20, 둘레 3m
소개: 전남대는 2007년 7월 26일 오전 11시 인문대 1호관
및 2호관 앞동산에서 ‘우리의 교육지표’선언 기념 조형물 제막식을 개최했다. 인문대 2호관 앞동산에 조성된 이 조형물은 책 5권을 쌓아 교육지표선언 전문을 음각하고, 11개의 청동 새싹을 장식한
높이 2m20, 둘레 3m 규모의 대리석 조형물이다. 검은 대리석은 유신체제하의 암울한 대학 상황을, 겹겹이 쌓인 5권의 책은 학문과 대학, 시간의 흐름과 역사, 그리고 5월 광주를, 11개의
새싹은 새로운 교육의 싹을 틔운 11명의 교육지표선언을 상징한다 (블로그글). 당선된 조형물은 책을 쌓은 받침 위해 당시 사건의 중심이 된 교수 11명을 상징하는 11개의 새싹을 올려놓은 모양이다 (Chosun.com).
전남대 '교육지표 사건'은 1978년 6월 27일
전남대 교수 11명이 유신체제의 교육 이데올로기였던 '국민교육헌장'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우리의 교육지표 선언문'을 채택했던 사건이다. 당시 교수들은 인간 존중의 교육, 교육자의 양심에 의한 교육, 외부간섭 배제·구속학생 석방, 3·1정신과
4·19 정신 계승 전파 등을 다짐했다 (남도뉴스).
관련 인터넷 기록물
1. 교육지표 선언 기념 조형물 완공: 암울한 시대에 새로운 교육의 싹을 틔우다. 전대신문 [2007.07.20]
2. 전남대, 27일 우리의 교육지표 선언 36주년 기념식. 광주BBS [2014.06.24]
3. 전남대 교육지표 사건 35년만에 무죄. 남도일보 [2013.02.05]
4. 1978년 교육지표사건 전남대에 기념조형물. Chosun.com [2007.05.13]
5. 민주야 여행가자 광주 전남대학교 광주캠퍼스 셋째날. Naver Blog [2015.08.24]
6. 국정교과서 응답하라1974 외치는 새누리. Global news [2014.01.14]
4. 1978년 교육지표사건 전남대에 기념조형물. Chosun.com [2007.05.13]
5. 민주야 여행가자 광주 전남대학교 광주캠퍼스 셋째날. Naver Blog [2015.08.24]
6. 국정교과서 응답하라1974 외치는 새누리. Global news [2014.01.14]
Monday, May 15, 2017
박관현 열사 추모비
제목: 박관현 열사 추모비
설치 장소: 전남대학교 법대교정 앞
재질: 자연석
소개: 1980년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장이 었던 박관현 (1953-1982) 열사는 ‘민족민주화대 성회’ 기간 동안 탁월한 연설과 뛰 어난 지도력으로 투쟁의 상징으로 떠올랐다
(Source: 광주의 오월을 걸다, version 3). 전남대
총학생회장이었던 그는 1980년 5월17일 계엄령과
동시에 내려진 수배령으로
피신했다가 1982년 4월 체포되어
광주교도소에 수감된다. 그는
민주화 동지들에 대한
심한 고문과 구타에
항의 단식투쟁을 하다
역시 고문과 구타를
당해 1982년 10월12일 전남대
병원에서 사망하고 말았다
(Source: OhmyNews).관련 인터넷 기록물
1. 30년 된 죽음, 박관현. 광주드림 [2012.10.05]
2. 5.18 항쟁의 불길을지핀.민주열사 박관현. 다음 블로그 [2016.05.12]
3. "박관현 열사를 기리자"… 30주기 맞아. Chosun.com [2012.10.05]
4. 영광에서 만난 또 하나의 인물 박관현. OhMyNews [2007.10.12]
윤상원 열사 추모비
제목: 윤상원 열사 기념
조형물
설치 장소: 전남대 사회대 중앙 정원
설치 장소: 전남대 사회대 중앙 정원
설치 날짜: 2007년 10월 18일
재질: 브론즈와
자연석, 매시철망좌대
규모: 가로 70㎝, 세로 40㎝, 높이 200㎝
조각가: 최은태 (조각가 프로필)
소개: 5·18 민중항쟁 당시 마지막까지 도청을 사수했던 최후의 전사이자 시민군의 대변인 역할을 했던 고 윤상원 열사 기념
조형물이 우리 대학 사회대 중앙 정원에 들어섰다. 윤상원 열사는 1978년
우리 대학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은행에 취업했으나 교육지표선언 사건을 계기로 광주로 내려왔다. 이후
광천공단 내에 위장 취업을 하고 들불야학 강학으로 활동했다. 윤 열사는 1980년 5·18 때 시민군 대변인으로 계엄군에 맞섰으며, 항쟁 마지막 날 전남도청에서 총에 맞아 숨졌다. 조형물 옆엔 윤
열사의 사진, 약력, 1980년 5월 27일 새벽에 발표한 마지막 선언문의 일부가 새겨진 비석을 세웠다. (전대신문)
<윤 열사의 약력>
<5.18 당시 27일 새벽
윤상원 열사가 시민군들에게 남긴 최후의 연설을 담은 추모비>
관련 인터넷 기록물
1. 전남대에서 고 윤상원 열사 제막식 열려. 광주MBC [2007.10.18]
2. 윤상원 열사
조형물 건립: 지난 18일 제막식 및 학술회의 가져. 전대신문 [2007.10.22]
3. 열사를 아십니까:
시민군 대변인윤상원 열사. 1boon.kakao.com [2017.05.18]
4. YoonSang-won and Gwangju May 18 Uprising. Korea times. [2015.05.17]
5. 고 윤상원 열사 조형물 건립: 깨어있는 자의 고뇌 형상화 전남대, 18일 제막식·학술회의. 광주드림 [2007.10.16]
Subscribe to:
Posts (Atom)
-
제목 : 임을 위한 행진 - 518 상징기념 조형물 설치 장소 : 봉지 : 백도 ( 별관 ), 홍도 ( 본관 ), 1 학생회관 사이 중앙에 있는 조그마한 분수 ( 연못 ) 가운데 설치 ( 제작 ) 일자 : 2004 년 0...
-
제목 : 용봉탑 설치 장소 : 전남대학교 용봉관 앞 설치 ( 제작 ) 일자 : 1978 년 6 월 8 일 규모 : 높이 13.66 미터에 폭은 4.45 미터 < 용봉탑의 건립 과정 , 1978 ...